AI
딜로이트도, 맥킨지도, 베스핀글로벌도: AI 에이전트로 일 바꾸는 시대

요즘 데이터센터에대한 관심이 아주 뜨겁습니다.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데이터센터 시장은 2025년 3,867억 1천만 달러에서 2034년까지 약 1조 86억 5천만 달러 (우리 돈 약 1,386조 원) 규모로 성장할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이러한 성장을 이끄는 동력은 바로 AI입니다.
AI 데이터센터는 대규모 AI 연산을 수행하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입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수용해야 할 뿐 아니라 생성형 AI 모델을 학습시키고 사용자 질문에 답변하기 위한 추론 기능도 있어야 하죠. 따라서 데이터 저장 및 전송 중심의 일반 데이터센터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습니다.
설계 및 하드웨어
기존의 데이터센터가 주로 직렬 연산에 강한 CPU로 이루어졌다면, AI 데이터센터는 병렬 연산에 최적화된 GPU나 TPU 등의 특수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초고속, 저지연 네트워크 기술이 더해져 실시간 연산 처리를 가능하게 하죠.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생성하고 소비하는 만큼 저장 시스템도 높은 용량과 처리량을 동시에 갖춘 고속 SSD, 대용량 HDD, 분산 스토리지 아키텍처를 조합해 활용합니다.
전력 및 냉각 기술
고성능 하드웨어들이 모여있는 AI 데이터센터는 기존보다 훨씬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데요.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요량은 일반 데이터센터의 10배 이상 높다고 하죠. 이로 인해 냉각 시스템도 한층 업그레이드되고 있는데요. 기존에는 팬을 돌려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랭식을 사용했다면, AI 데이터센터에서는 냉각수를 활용한 수랭식 기술을 적용해 냉각 효율을 높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특수 액체에 담가 열을 시키는 액침 냉각 기술도 적극 도입되고 있다고 하네요.
입지 전략화
지금까지 데이터센터는 빠른 데이터 전송을 위해 대부분 대도시 인근에 구축되었는데요. AI 데이터센터는 용도에 따라 입지 전략을 다르게 하고 있습니다.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센터는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만큼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외곽 지역이나 발전소 근처에 주로 들어서고요. 반면, 비교적 전력 소모가 적은 AI 추론 전용 데이터센터는 사용자 응답 속도 등을 고려해 오히려 인구가 많은 지역에 지어지는 추세입니다.
️ 보안과 확장성
AI 데이터센터는 급속히 발전하는 기술 환경에도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모듈형 구조, 컨테이너 기반 배포,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DSI) 등을 통해 빠르게 확장하거나 신기술과도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는 것이죠. 또한 AI 모델 자체가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보다 더 강력하고 정교한 보안 체계가 요구됩니다.
지난주 베스픽에서도 소개한 것처럼 엔비디아는 AI 데이터센터를 ‘AI 공장’이라고 표현하며 기존의 데이터센터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매우 강조했는데요. 이처럼 AI 데이터센터는 AI에 최적화된 차세대 인프라로서 서버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KAI 에이전트가 일의 방식을 바꾸고 있습니다. 딜로이트, EY, 맥킨지 등 글로벌 기업들이 정보 수집, 분석, 회의 준비까지 AI에 맡기며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있죠. 베스핀글로벌도 HelpNow AutoMSP를 통해 클라우드 운영의 80% 이상을 자동화하며, 국내에서 가장 빠르게 실무에 AI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 딜로이트도, 맥킨지도, 베스핀글로벌
Sources
- Data Center Market Size, Share, and Trends 2025 to 2034
- The Evolution of Data Centers: From Traditional to AI-Powered
- Microsoft to spend $80 billion in FY’25 on data centers for AI
- Amazon plans to spend $100 billion this year to capture ‘once in a lifetime opportunity’ in AI
- Cloud Giant Alibaba Invests $53B In AI Infrastructure As Stock Surges
- Strider SCSP China AI Infrastructure Surge Report
- Google’s future data centers will be built next to solar and wind farms
- Meta signs nuclear power deal with Constellation Energy
- Renewable Energies: The Unsung Heroes Fueling AI Data Centers and Large Language Models
- [IT백과] 너도나도 외치는 ‘AIDC’, 일반 데이터센터와 뭐가 다를까
- ‘제조업 끝판왕’ AI데이터센터…글로벌 1000조 시장 선점해야 미래 있어
- 메타도 원전 기업과 손 잡아…AI 수요 폭증에 원전 귀환
Faq
Q: AI 전용 데이터센터(AIDC)가 뭐예요?
A: AI 전용 데이터센터(AIDC)는 생성형 AI, 딥러닝 모델 운영 등 고성능 컴퓨팅과 대량 데이터 처리를 전문으로 설계된 인프라입니다. 일반 데이터센터와 달리 GPU 집약적 구조, 전력·냉각 최적화, 저지연 네트워크, 그리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용이 핵심 특징이에요. 최근 MS, 구글, 아마존 같은 대형 클라우드 제공사들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며 AIDC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Q: 왜 빅테크 기업들이 AIDC에 크게 투자하나요?
A: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연산과 학습에 필요한 GPU 자원과 전력 소비가 크게 증대했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은 이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효율적인 냉각 시스템, 대규모 전력 공급망, 그리고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갖춘 데이터센터에 집중 투자하고 있어요. 이는 곧 AI 성능과 안정성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Q: AIDC 구축 시 주요 고려사항은?
A: 다음 5가지 요소를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1. 클라우드 및 에코시스템 연결성 – 기업·파트너와의 데이터를 저지연으로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함
2. 네트워크 풍부도 – 다수의 ISP와 직접 연결 가능 여부
3. 전력·냉각 효율 – 지역 전력 요금, 재생에너지 활용, 냉각 방식
4. 기후 및 자연재해 리스크 – 온도, 재해 위험 등을 고려해 위치 선정
5. 규제 및 비용 전략 – 세금, 장비 면세 혜택 유무
이 중에서도 AIDC에 특화된 전력·냉각 인프라는 성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Q: AIDC가 있는 데이터센터의 지리적 입지는 왜 중요한가요?
A: 입지는 AI 성능과 직결됩니다.
– 저지연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클라우드 허브 또는 파트너 생태계와 가까워야 하며,
– 전력 및 냉각 비용이 낮고,
– 세금 혜택이 있는 지역,
– 자연재해 위험이 낮은 곳이 이상적입니다.
Equinix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이 기준을 바탕으로 전략적으로 입지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5. Q: 한국에서 AIDC 입지 선정 시 고려해야 할 포인트는요?
A: 한국의 경우,
– 전력 요금 및 전력 안정성,- 기후(고온·습도 대비 냉각 비용),
– 주요 클라우드 리전(AWS, GCP, Azure)과의 연결성,
– 지방정부 차원의 세제 및 입지 지원 정책,
– 그리고 자연재해(홍수·지진) 위험을 모두 고려한 전략적 입지가 중요합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도입 계획 여부도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필수 요소입니다.
6. Q: Bespin Global은 AIDC 시장에서 어떤 우위를 가지고 있나요?
A: Bespin Global은 2015년 설립 이후 100여개 기업 대상으로 400건 이상의 데이터·AI 프로젝트 경험, 클라우드 전반을 망라하는 **AI MSP(Managed Service Provider)**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Google Cloud, AWS, Azure 등과 프리미어·골드 레벨 파트너십을 맺고 있어, 최신 네트워크·클라우드 인프라와의 높은 연동성을 바탕으로 고객의 AIDC 구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역량이 있습니다.
7. Q: AIDC 도입 시 예상되는 비용 절감 및 효과는 어떤가요?
A:
– 최적화된 전력·냉각 설계로 운영비용 절감,
– 저지연 연결과 AI 가속화를 통한 모델 학습 및 추론 시간 단축,
– 규제·세제 혜택 활용 시 초기 구축 비용 절감,
– 에너지 효율 높은 설비 도입으로 지속 운영비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Bespin Global처럼 FinOps, SecOps까지 포함한 통합 클라우드 운영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총소유비용(TCO)**에서 큰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